안녕하세요,
최근 넷플릭스 시리즈인 '오징어게임' 이 핫한데요,
우리나라에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여러나라에서 넷플릭스 1위를 찍었다고 합니다.

이렇게 우리나라 컨텐츠들이 해외시장에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데요,
그래서인지 넷플릭스의 한국콘텐츠 투자 증가율이 상당히 가파르게 증가중입니다.

아래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중 가장 비싼 제작비를 기록한 작품들입니다.


1위는 더크라운으로, 회당(1회) 제작비 1300만 달러 투자(약 150억) 이 투자되었다고 하네요.

브리저튼은 1회당 700만 달러로 약 82억,

기묘한 이야기는 회당 1200만달러로 약 140억이 제작비로 들었다고 합니다.

그에 반해 오징어 게임은 총 200억원으로 1회당 약 22억원 정도의 제작비가 들었다고 합니다.
그동안의 국내 제작 컨텐츠에 비하면 상당한 금액이 들어간 것이지만 위의 작품들에 비하면 오히려 저렴해 보이기도 한 제작비네요.
생각해보니 OTT 플랫폼입장에서는 한국에서 제작되는 컨텐츠가 가성비가 좋아서 투자가 많이 들어올 것 같더라구요,
넷플릭스뿐 아니라 아마존, 디즈니까지 OTT 로 진출을 하니 K-컨텐츠 관련 기업에 투자를 하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.
개별 종목으로는 스튜디오드래곤, 제이콘텐트리, 에이스토리 등 여러 제작업체가 있지만 ETF 에 투자하는 것도 대세 흐름에 탑승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아 미디어켄텐츠 관련 ETF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
1. KODEX 미디어&엔터테인먼트
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 입니다.
보수는 약 0.45%로 지수추종 ETF보다는 약간의 보수비용이 나가네요.

투자종목은
의외로 네이버/카카오가 상위 비중을 차지하네요.
게임관련기업인 크래프톤/ 엔씨소프트/넷마블/펄어비스/카카오게임즈도 있구요,
오히려 제가 관심있는 컨텐츠 제작 관련 기업들의 비중은 작아보이는군요. (스튜디오드래곤, 비중 1.31%)

2. TIGER 미디어컨텐츠
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 입니다. 총 보수는 약 0.50%로 KODEX 와 비슷합니다.

구성종목은 확실히 미디어 컨텐츠쪽으로 치중되어있는 것으로 보이네요,
가장 비중 높은 기업은 에스엠/JYP ENT/ 스튜디오드래곤/ 하이브/ YG ENT 입니다.

두 ETF 흐름을 비교해보면 TIGER 미디어컨텐츠가 조금 더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
아무래도 KODEX 에는 네이버/카카오 비중이 높다보니 최근 네이버/카카오 흐름을 많이 타는 것 같네요.

저와 같이 K-컨텐츠에 관련있으신 분들은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것도 좋지만 ETF 에 투자하는 것도 한 번 고민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?
개인적으로 어떤 ETF에 투자하는 게 좋을 지 공부하고자 정리해보았습니다.
감사합니다.
※ 본 포스팅은 특정 종목 추천 포스팅이 아닙니다.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※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주식] 포트폴리오 구성 시 필수인 '달러', 투자하는 방법은?! (0) | 2021.10.05 |
---|---|
[ESG] ETF 로 탄소배출권 투자하기 - ETF 4종 신규상장! (0) | 2021.09.30 |
[공모주] 9월 공모주 - 아스플로 (0) | 2021.09.27 |
[미국주식] 미국 부동산으로 월세 받기! - 리츠(REITs)주 (0) | 2021.09.24 |
[주식] 미국 넷플릭스 1위, 오징어게임! 관련주는?! (0) | 2021.09.23 |